- 금성관
- 나주목문화관
- 금학헌(나주목사내아)
- 나주읍성 서성문
- 나주향교
- 남평향교
- 문바위
- 죽림사
1금성관
금성관은 나주가 호남의 웅도로써 그 중심역할을 수행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역사유적이다. 금성관은 나주목에 있는 객사이다. 객사는 고려·조선시대에 각 고을에 설치하였던 관사를 말한다. 금성관은 근대에는 또 나주인 들의 항일정신을 대표하는 장소였다. 금성관은 일제 강점기에 창호·마루등 내부를 개조하여 나주군청 청사로 사용되면서 원형이 크게 변형되었다.
그래서 1976~1977년까지 금성관을 완전해체한 뒤 거의 원형에 가깝도록 복원하는 작업이 이뤄졌다.
2나주목문화관
나주목문화관은 983년 나주목이 된 후부터 1895년까지 나주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전시관이다. 나주는 고려 성종 때부터 1895년 나주 관찰부가 설치될 때까지 1,0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나주목이 유지된 곳이다.문화관 내부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지방 행정 단위였던 ‘목’에 관한 전시가 이루어지고 있다. ‘어향나주 목이 되다’, ‘나주목사 부임행차’, ‘나주읍성 둘러보기’, ‘관아 둘러보기’, ‘다시 태어나는 나주’ 등 8개의 주제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20명에 이르는 목사들의 명패와 목사의 하루 일정 등도 살펴볼 수 있다. 나주목문화관은 나주시에서 직접 운영하며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무료로 개방된다.
3금학헌(나주목사내아)
천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수많은 목사들이 한양에서 나주에 내려와 산 집이 바로 나주목사 내아이다. 나주목사 내아는 지리적으로 명당자리로 꼽힌다. 마당에는 벼락을 맞아도 수백 년 째 목사 내아를 지키고 있는 유명한 팽나무가 있다. 나주시는 일제강점기를 거쳐 훼손된 목사 내아를 ‘금학헌’이라는 이름으로 전면 해체, 복원해 숙박이 가능한 전통문화 체험 공간으로 재단장했다. KBS 인기 프로그램 1박2일팀이 숙박해 전국적으로 알려진 금학헌에는 현재 6개의 방이 있다.
한두 달 전에 예약해야만 전라남도문화재자료 제132호로 지정된 이 기념물에서 하룻밤 숙박할 수 있다. 관람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관람료는 받지 않는다.
4나주읍성 서성문
나주읍성의 서쪽에 위치한 서성문은 나주읍성 수성군과 동학군의 전투, 즉 우리 민쪽끼리의 전투 역사를 가진 슬픈 사연을 담고 있는 성문이다. 1894년 7월 1일 나주를 점령하기 위해 동학군이 서성문으로 내달렸으나 성은 함락되지 않았고, 이에 녹두장군 전봉준은 당시 나주목사 민종렬과 협의를 위해 나주읍성으로 들어가는데 그때 그 문이 서성문이다. 1815년에 발간된 '나주목여지승람' 서문에 "영금운으로 기록된 편액이 있었다"는 기록에 따라 '영금문' 현판을 제작하여 걸었다. 영금문은 '두루 나주를 비춘다' 라는 뜻을 지닌 것으로 예상된다.
5나주향교
나주시 과원동, 금계동에 있는 나주목 관아와 향교는 2007년 7월 31일 사적 제 483호로 지정되었다. 그 이유는 첫째, 나주는 약 1,000년 동안 목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한 전라도의 대표적 고을이었다. 현존하는 관아 건물과 향교 건물들도 그에 맞는 수준의 위엄을 보여주고 있어 중세사회를 연구하는데 상당한 가치가 있다는 점이 평가되었다. 둘째, 나주 향교는 평지에 들어선 전묘후학의 배치형태를 지닌 전형적인 조선시대 향교의 건축모범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또한 나주향교는 조선시대 교육시설의 규모를 따지면 성균관 다음이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규모가 클 뿐 아니라 교육과 제사의 고유기능을 간직하고 있어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6남평향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6호인 남평향교는 조선 세종 9년에 창건되었다. 정유재란 때의 소실과 몇 번의 중수를 거쳐, 2011년 8월에 대성전과 내,외삼문, 명륜당등을 새롭게 단장하여 600여년 만에 중수비 제막식을 가졌다. 남평향교 건물은 경사지에 일반적인 전학후묘의 배치형식을 따르고 있어 외삼문을 들어서면 명륜당과 동· 서재가 있고, 내삼문 내에는 대성전과 동·서무가 있고 제기고, 고사 등이 있다. 문묘 내에는 5성과 중국 송나라 4현과 함께 우리나라 18현 등 모두 27위패를 봉안해 향사하고 있다.
건물은 북향의 전면을 개방되어진 상태로 출입하고 있다. 향교 입구 담장 앞에는 남평현감 장회를 비롯한 9분에 대한 선정비 18개가 세워져있다.
7문바위
남평 문씨의 시조인 무성공 문다성과 문극겸을 모신 상덕사와 장연서원에서 200미터 거리 쯤 되는 곳에 높이 6m 폭 5m의 커다란 바위가 바로 문바위다. 문바위에는 남평문씨 시조 문다성의 탄생 설화가 깃들어 있다. 서기 472년 남평 고을 원님이 이 곳에서 한 아이를 데려다 길렀고, 아기가 있던 바위를 ‘문암’이라 이름 붙여 이 아기를 문씨의 시조로 삼았다.문다성은 문무에 뛰어나고 비범하여 장차 대아랑 대국사가 되었다.
우리나라 유명 성씨 중 하나인 남평 문씨의 탯자리가 바로 이 곳 남평읍 풍림리다. 이러한 설화를 간직한 문바위는 1995년 12월 26일 전라남도 민속자료 제32호로 지정되었다.
8죽림사
죽림사는 백제 비유왕 24년 경 아도화상이 창건했다는 설이 있으나 확실치 않다. 죽림사기를 쓴 이곡산인의 사찰 기록의 부록을 보면 창건 시에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7전, 3당, 2실, 3요, 6암, 1사가 있었다고 한다. 지금은 극락 보전, 영산전, 청향각, 삼성전 등이 있다. 내부공간은 실내에 기둥이 없어 통칸으로 처리하여 개방감을 준다. 천정은 층단을 둔 우물천장이며 불단위에 보개를 얹었다. 특이한 것은 불단을 정면이 아닌 측면에 배치하였다는 점이다. 개구부의 문은 모두다 띠살창인데, 정면과 우측면에 출입문이 있을 뿐 아니라 배면에도 문이 있는 독특한 형식이다. 전체적으로 보아 대지가 좁고 단차가 심한 곳에 위치하였으나 아담하고 가구구조가 간결한 건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