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목사고을, 나주
나주 목의 역사는 저 멀리 고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고려 성종은 983년 지방제도를 정비하며 전국의 중요 지역에 12목(牧)을 설치했습니다. 이때 호남 지역에서는 나주와 승주, 전주 세 곳에 목이 설치되었습니다. 이후 현종 9년(1018) 지방제도를 완비하면서 12목을 8목으로 조정할 때 승주와 전주가 제외되고 나주 만이 유일하게 호남에서 목으로 남게 되었습니다.
이때부터 나주는 전주와 더불어 명실공히 전라도의 중심지가 된 것입니다. 983년부터 1895년까지 천 년 가까운 세월 동안 호남의 작은 서울"이라 불린, 여기는 천년목사고을 나주입니다.
나주 목(牧)의 간추린 역사
- 나주의 통일신라 때 지명은 금성(錦城) 또는금산(錦山)
- 고려 초인 940년(태조 23)에 나주(羅州)라 칭했으며, 983년(성종 2) 나주목(羅州牧)이 되어 지방관이 파견됨.
- 전라도(全羅道)의 명칭은 전주(全州)와 나주(羅州)에서 따온 것으로, 고려 현종 때부터 불려온 것이 조선 시대까지 그대로 쓰임.
- 983년부터 1895년까지 천여 년 동안 나주목으로서 수많은 고을을 관장한 호남의 고도 (3백6명의 목사가 거쳐 간 목사고을)
- 조선 후기 나주는 인구로 전국 5위, 조세로 전국 수위를 기록함.
- 금성산과 서울의 삼각산, 영산강과 한강의 지세가 닮았다 해서 "소경(小京)"이라 불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