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폐기물 증가와 감량

우리 시 생활폐기물 배출량이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 연간 배출량을 비교하면 일반폐기물(종량제봉투와 재활용품)은 2020년 15천톤에서 2023년 22천톤으로 6천여톤이 늘어나 3년만에 40% 증가했으며, 모든 생활폐기물의 총량은 2020년 28천톤에서 2023년 35천톤으로 7천여톤이 늘어나 3년만에 25% 증가했습니다.
    • 주민등록 인구는 2020년 115,613명에서 2023년 117,377명으로 1.5%(1,764명) 증가
    • 1인당 일반폐기물 배출량은 2020년 123kg에서 2023년 189kg으로 54%(66kg) 증가
  • 1일 평균 배출량을 비교하면 2020년 78톤에서 2023년 97톤으로 19톤이 늘어나 3년만에 25% 증가해 배출량이 매우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거 작업량과 처리비용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어, 일상생활에서 주민들의 폐기물 감량이 매우 절실한 상황입니다.
연도별 생활폐기물 배출량
연도별 생활폐기물 배출량 안내표로 연도,일반폐기물(소계(A),종량제봉투,재활용품),대형폐기물(B),영농폐기물(C),음식물폐기물(D),합계(A+B+C+D),1일 평균 배출량 항목으로 구성된 표
연도 일반폐기물 대형
폐기물
(B)
영농
폐기물
(C)
음식물
폐기물
(D)
합계
(A+B+
C+D)
1일
평균
배출량
소계
(A)
종량제
봉투
재활용품
2023년 22,238 17,871 4,367 2,155 1,466 9,863 35,722 97.8
2022년 17,925 16,491 1,434 1,838 1,513 9,965 31,241 85.6
2021년 17,332 15,914 1,418 1,971 1,320 10,067 30,690 84.1
2020년 15,868 14,232 1,636 1,380 1,314 9,968 28,530 78.2
2019년 14,270 12,854 1,416 1,317 993 9,962 26,542 72.7

※ 폐기물은 발생원 및 성질에 따라‘생활폐기물’, ‘사업장폐기물’, ‘지정폐기물’로 분류

  • 생활폐기물 : 사업장폐기물 외의 폐기물로 가정에서 배출하는 종량제봉투 폐기물, 음식물류 폐기물, 폐지류, 폐비닐류, 고철 및 금속캔류, 폐가구류 등 입니다.
  • 사업장폐기물 : 「대기환경보전법」, 「물환경보전법」 또는 「소음·진동관리법」에 따라 배출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사업장 등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입니다.
  • 지정폐기물 : 사업장폐기물 중 폐유, 폐석면 등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거나 의료폐기물 등 인체에 위해를 줄 수 있는 해로운 물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