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폐기물 공동집하장

영농폐기물 공동집하장이란?
  • 농촌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폐비닐이 방치되면서 경관을 훼손하고 있고, 불법으로 소각되면서 토양과 하천 오염을 일으키거나 산불 발생의 원인이 되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영농과정에서 발생하는 폐비닐과 농약 빈병을 모아서 한국환경공단을 통해 수거할 수 있도록 공동집하장 설치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신청방법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신청
    • 신청시 필수사항 : 설치 지번과 토지소유자 동의서, 관리자 1명 이상 지정
    • 지원장소 선정 : 설치장소 기준에 적합하고,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한 지역을 중심으로 미설치 읍·면·동을 우선하여 선정
설치장소 기준
  • 주민이 쉽게 영농폐기물(폐비닐, 농약빈용기)을 운반 ‧ 배출할 수 있고 수거차(환경공단 5톤 크레인트럭) 진출입과 회전이 용이한 장소를 선정
    * (필수 조건) 수거차 진출입이 가능한 도로폭(4m 이상)과 수거 작업시 집게장비가 인근에 전기줄 및 통신선에 걸리지 않도록 공중에 장애물이 없는 장소
  • 수거차가 정차하여 수거작업시 다른 차량의 통행을 막아 주민불편이나 교통사고 발생이 우려되는 장소는 제외
  • 마을회 또는 개인 소유의 토지 위주로 선정(단, 소유자 동의 필요)
  • 토지의 지목이 농지(전, 답), 도로, 제방, 임야, 구거가 아닌 장소
  • 공동집하장 전담 관리자(이·통장, 주민) 지정이 가능한 지역
공동집하장 시설 사양
  • 설치규격 : 가로 6m×세로 5m×높이 1.5m
  • 설치형태 : 상부개방형 콘테이너 방식 또는 울타리 메쉬(mesh) 방식
  • 설치내역 : 콘크리트 바닥 조성, 개폐식 출입문 설치, 안내 간판 설치

연두색 펜스 울타리 안으로 재활용품 쓰레기들이 쌓여있는 모습, 펜스에는 재활용품 분리배출 일정과, 재활용 분리수거 안내문, cctv촬영중 안내문구가 있는 영농폐기물 공동집하장의 모습

공동집하장 설치 현황
공동집하장 설치 현황 안내표로 읍면동, 집하장 위치, 형태, 설치년도 항목으로 구성된 표
읍면동 집하장 위치 형태 설치년도
남평읍 남평읍 오계리 407-2 메쉬펜스형 2023년
남평읍 우산리 2413-191 메쉬펜스형 2023년
남평읍 남석리 807-2 메쉬펜스형 2024년
남평읍 광촌리 826-19 메쉬펜스형 2024년
왕곡면 왕곡면 옥곡리 103-109 컨테이너형 2015년
왕곡면 덕산리 511-1 컨테이너형 2015년
왕곡면 송죽리 726 메쉬펜스형 2023년
왕곡면 양산리 707 메쉬펜스형 2024년
왕곡면 신포리 238-1 메쉬펜스형 2024년
반남면 반남면 덕산리 505-8 메쉬펜스형 2024년
공산면 공산면 백사리 23 메쉬펜스형 2024년
동강면 동강면 대지리 1090 메쉬펜스형 2023년
동강면 곡천리 1493 메쉬펜스형 2024년
문평면 문평면 옥당리 787-6 컨테이너형 2015년
문평면 안곡리 960-65 메쉬펜스형 2020년
노안면 노안면 계림리 680-4 메쉬펜스형 2023년
노안면 용산리 718-16 메쉬펜스형 2023년
노안면 유곡리 946-3 메쉬펜스형 2023년
산포면 산포면 등정리 840-15 메쉬펜스형 2023년
다도면 다도면 도동리 186-1 메쉬펜스형 2023년
다도면 덕동리 산 57-10 메쉬펜스형 2023년
다도면 암정리 622 메쉬펜스형 2023년
봉황면 봉황면 죽석리 1112-3 메쉬펜스형 2023년
봉황면 덕곡리 산 124-5 메쉬펜스형 2023년
봉황면 덕곡리 78 메쉬펜스형 2024년
봉황면 철천리 633-6 메쉬펜스형 2024년
이창동 동수동 104-2 메쉬펜스형 2023년
대기동 238-1 메쉬펜스형 202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