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발생 취약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잔류분무소독과 모기산란 장소인 유수지 등에 대한 모기유충구제 그리고 취약지에 대한 연막소독을 병행 실시하여 감염병 발생원인 위생해충 및 병원체를 사전 구제하고 있습니다.

목적

감염병 발생 취약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잔류분무소독과 모기산란 장소인 유수지등에 대한 모기유충구제 그리고 취약지에 대한 연막소독을 병행 실시하여 감염병 발생원인 위생해충 및 병원체를 사전 구제함으로써 감염병 예방과 시민건강보호에 기여코자 합니다.

취약지역 방역소독

  • 목 적 : 모기의 유충을 구제함으로써 장기적인 모기밀도 감소기대
  • 대상지 : 하수구, 쓰레기장, 웅덩이, 축사, 인구밀집지역등
  • 방역소독 실시기준
    • 3월 : 월동 위생해충을 위한 해빙기 일제방역소독
    • 5월 ~ 6월 : 2주 1회 이상
    • 7월 ~ 9월 : 주 1회이상 소독실시
  • 소독방법 : 분무소독실시. 단, 숲이 우거진 지역, 하수구, 침수지역은 연막소독 실시

분무소독, 연막소독, 유충구제 등의 장.단점 비교

분무소독, 연막소독, 유충구제 등의 장.단점 비교 안내표로 구분, 분무소독, 연막소독, 유충구제 항목으로 구성된 표
구 분 분무소독 연막소독 유충구제
장점
  • 해충서식지나 출현장소에 직접 소독액을 살포, 접촉작용하여 치사시키는 방법으로 살충 효과가 크다.
  • 높은열에 의한 살충제 입자파괴가 없으므로 보다 좋은 구제효과를 발휘한다.
  • 연막형성이 없으므로 차량이나 왕래하는 사람에게 교통상 불편을 초래하지 않는다.
  • 살포면적이 넓다.
  • 숲이 우거진 지역과 공기의 흐름이 차단된 지역에서도 깊숙히 살충제 입자가 도달할 수 있다.
  • 지하공간과 같은 밀폐된 곳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 모기유충을 구제하므로 성충의 원천적인 방제효과가 있다. (유충1마리 구제로 성충 500마리 박멸 효과)
  • 환경오염이 없다. - 유충서식지 제거등 주민 참여가 용이하다.
단 점 살포면적이 좁다.
  • 가열성,휘발성이므로 살충제 일부가 파괴되어 약효감소,대기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 소독시간에 제한을 받을수 있다.(일출전 일몰후)
  • 연막형성으로 교통의 흐름을 차단 할 수 있다.
  • 유충구제제 가격이 다소 비싸다.
  • 유충서식 유무조사에 많은 민원이 소요된다.(주민협조 필요)

한컵 정도의 고인물에서도 모기유충이 서식하므로 소량의 고인물 (마당이나 옥상의 폐타이어, 빈깡통, 페트병, 화분받침대 등) 제거는 시민의 협조가 필요